목록투자 (19)
허허의 오늘은 뭐 먹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96qJz/btrhvOVUhOr/kmzES18r9NOtGVkitBamMk/img.png)
어느 정도 손실까지 주식 안팔고 버틸 수 있어? 주식은 오르고 내린다. 오늘 때 욕심을 부려서 더 가지고 있을지 수익을 실현할지 행복한 고민을 한다. 그런데 내릴 때는 이 정도면 팔지, 아니면 좀 더 버틸지 판단을 해야 한다. MDD (Maximum Drawdown)는 이를 정량적으로 나타는 수치이다. 새 고점에 도달하기 전, 그 이전의 고점에서 저점까지의 차이로써, 최대 손실을 의미한다. 즉, 위에서 -50.80%는 내 주식 통장의 평가금액이 가장 늘어났을 때와 비교해서 -50.80%까지 찍히는걸 눈으로 봤다는 얘기다. 내가 얼마나 버틸 수 있는지 나의 한계치를 대입해볼 수 있는 지표인 것이다. 그럼 계산을 해보자. 1. 초기 투자금액 100만원 2. 주식이 올라서 200만원이 됨 3. 약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cNC0/btrhfyOBrZq/zqNfCBkrYLk3QjwR7MKRq1/img.png)
나의 미국 ETF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을 미리 알고 싶어요. 과거의 데이터에 현재 내 포트폴리오를 넣어두고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다면 투자하는데 어느정도 확신이 들지 않을까? 과거 몇년간의 데이터가 아니라 아주아주 긴 기간의 데이터가 쌓여져 있다면.. 그 안에는 역사적인 호재와 악재가 모두 녹아져 있을 것이므로 어느정도 신뢰할 수 있지 않을런지? 과거는 반복되니까... 다행히도 미국 주식은 정보를 찾기가 너무 쉬운데, 아래 사이트를 이용한다면 쉽게 나의 포트폴리오를 과거 데이터에 대입해볼 수 있다. https://www.portfoliovisualizer.com/backtest-portfolio 본 포스팅에서는 포트폴리오 Backtest를 소개하고자 한다. 매달 1천달러를 가지고 2001년부터 20..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pmsGz/btrhezMcKnI/d4EuZi6IcaLtqpTitv29MK/img.png)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는200만원(서민형 400만원)의 비과세혜택을 주는 상품이다.국내주식, 펀드, ELS, ETF 등에 투자할 수 있다. ISA는 일임형 (금융사가 운용), 신탁형(투자자가 직접 투자할 상품을 선택), 중개형(국내 상장 주식 등에 투자 가능)이 있으며, 중개형 ISA 중심으로 내용을 보고자 한다. * 올해는 2021년을 의미함* 일반계좌는 수익만 합친 금액의 15.4%인 426.7340만원이 세금이고, 중개형ISA는 수익+손실에서 200만원을 뺀 나머지 금액의 9.9%인 200.079만원이 최종 세금이 된다. 비과세 한도서민형 : 400만원 (연소득 5000만원 근로자, 종합소득 3500만원 이하)일반형 : 200만원 매매차익 세금국내 주식 : 매매차익 비과세, 배당소득 15.4%..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WmZMd/btqUsc7H3jV/Wff0sepzrGd1vIPHQSTHp0/img.jpg)
원격 의료, 디지털 치료, 비대면의료.. 들어보셨나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비대면 의료의 큰 분류 중 하나인 디지털 치료제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디지털 치료제는 먹는 알약이나 주사 대신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질병을 예방·관리·치료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주로 스마트폰 앱(응용프로그램)이나 게임, VR(가상현실), 챗봇 등을 활용하며 기존 신약보다 개발 시간이 짧고 개발 비용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비대면 의료는 아래와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위의 디지털 치료제는 사용 목적에 따라 아래와 같이 분류됩니다. 아래는 미국 FDA에서 승인된 디지털 치료제의 리스트입니다. 디지털 치료제가 어떤 것을 예로 들 수 있는지 감을 잡으실 수 있을 겁니다. 약물 대신 앱이나 VR 등을 통해서 디지털 치료를 ..
오늘은 곱버스에 대해서 생각해 보려고 합니다. 곱버스는 코스피가 하락할 때 2배를 벌도록 설계된 ETF(상장지수펀드) 입니다. 지금이 코스피 최고점이라면 하락에 배팅해서 하락률에 2배나 수익을 거두게 되는 곱버스... 왜 위험할까요? 곱버스는 요즘과 같은 변동성 장세에는 정말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만약에 매일 10%씩 흔들리는 장이라는 가정에서 100만원을 인버스와 곱버스에 투자했다고 합시다. 그럼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일차 상황 지수 (최초 100으로 가정) 곱버스투자시 1일차 10% 하락 90 120 2일차 10% 상승 99 96 3일차 10% 하락 89.1 115.2 4일차 10% 상승 98.01 92.16 5일차 10% 하락 88.209 110.592 6일차 10% 상승 97.0299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8bH6g/btqS6YppPeu/Ha7OkxKYy2jEUn6bc12Ig1/img.jpg)
최근 급격하게 코스피 지수가 올라가고 있습니다. 오늘 하루동안만 장중에 주가지수가 170p나 오르락 내리락했습니다. 이러한 장세에서 고점은 아닐까 약간은 걱정되지만 과감하게 주식을 매수하여 공격적인 투자자가 될지, 아니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주식을 팔고 안전자산으로 돌릴지에 대해 판단하는 것은 아주아주 중요한 일입니다. 상투에서 주식을 사면 안되니까요. 하지만 이러한 중차대한 일을 남의 이야기만 듣고 덜컥 정할 수만은 없는 노릇입니다. 그래서 리스크 지표에 대해 포스팅해보겠습니다. IEFA:EMM 는 선진국시장지수 VS 이머징마켓지수 지표입니다. 우하향하는 경우 신흥국 시장에 대한 투자 선호가 높고, 우상향하면 선진국시장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UST10Y:$UST2Y 는 미국 장단..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l8kS7/btqSScOwwil/nerzmtAKjuiXMDeSl2hTg1/img.jpg)
서울시에 소규모재건축 진행 상황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서울시 공공데이터 (data.seoul.go.kr/dataList/OA-2253/S/1/datasetView.do) 에 따르면 현재(2020.1.7) 재건축 또는 재개발이 진행중인 곳은 총 626개입니다. (첨부파일 참조) 이 중 눈에 띄는 소규모재건축 단지들의 상황을 확인해보겠습니다. 1. 송파구 가락현대5차아파트 가락현대5차 아파트 중 51,52동이 소규모재건축으로 재건축을 택했습니다. 2020.4.28에 조합설립인가가 났으며 2020년 7월에는 재건축 사업시행자로 포스코 건설을 선택했습니다. 지하2층~지상 25층 규모의 174가구 (일반분양은 29가구) 로 계획하고 있다고 보도되었습니다. 이 단지는 조합설립시에도 굉장한 단결력을 보이면서 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eNe4/btqSV8Ey4Vs/KSiLQlU7TKXTnZeMQP1wQ0/img.jpg)
소규모재건축이라고 들어보셨나요? 2018년 2월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 시행 후 재건축 시장에 새로운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소규모주택정비 사업이란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에 따라 노후·불량건축물 밀집 지역등에서 시행하는 아래표의 3개 사업을 말합니다. 이 중 “소규모재건축사업”이란 정비기반시설이 양호한 지역에서 소규모로 공동주택을 재건축하기 위하여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에서 정한 절차에 따라 다음의 지역에서 시행하는 정비사업을 의미하며,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른 재건축사업과는 구분됩니다.(「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 제2조제1항제3호 참조 및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 시행령」 제3조제3호) - 「도시 및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RI3kl/btqSQ5aOgSR/uOuxQkONztbw0MxO6I4tbK/img.jpg)
주식 투자를 하면서 PBR이라는 용어는 많이 친숙합니다. PBR에서 다시 한번 정리해보기로 합니다. PBR은 주가가 주당 순자산의 몇 배의 비율로 거래되는지에 대한 지표입니다. PBR(Price Book-value Ratio, 주가 순자산 비율) = 현재 주식 가격 / BPS(주당 순자산) - BPS = 순자산 / 총 주식수 - 순자산이란 회사 청산시 주주가 받을 수 있는 자산의 가치를 의미함 (총자산에서 총부채, 무형고형자산 등을 뺌), 순자산이 클 수록 기업의 재무구조가 건전함 PBR이 1보다 작으면 어떨까요? 주가가 순자산의 가치보다도 못 미친다는 의미가 됩니다. PBR이 1근처라면 저평가된 주식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PBR의 한계도 있습니다. 주당순자산의 가치를 과거 기준으로만 책정할 수 밖에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