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허의 오늘은 뭐 먹지?
안전자산을 살까? 위험자산을 늘릴까? 리스크지표 보기 본문
최근 급격하게 코스피 지수가 올라가고 있습니다.
오늘 하루동안만 장중에 주가지수가 170p나 오르락 내리락했습니다.
이러한 장세에서 고점은 아닐까 약간은 걱정되지만 과감하게 주식을 매수하여 공격적인 투자자가 될지, 아니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주식을 팔고 안전자산으로 돌릴지에 대해 판단하는 것은 아주아주 중요한 일입니다. 상투에서 주식을 사면 안되니까요. 하지만 이러한 중차대한 일을 남의 이야기만 듣고 덜컥 정할 수만은 없는 노릇입니다.
그래서 리스크 지표에 대해 포스팅해보겠습니다.
IEFA:EMM 는 선진국시장지수 VS 이머징마켓지수 지표입니다. 우하향하는 경우 신흥국 시장에 대한 투자 선호가 높고, 우상향하면 선진국시장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UST10Y:$UST2Y 는 미국 장단기 금리차 입니다. 즉, 중장기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합니다. 우상향하면 향후 경기에 대한 회복이 예상되므로 위험자산을 선호할 수 있고, 우하향하면 미래 경기회복에 대해 부정적이므로 안전 자산을 선호할 것입니다.
$COPPER:$GOLD 는 구리와 금 가격비율입니다. 금은 대표적인 안전자산이죠. 구리보다 금을 더 선호하면 (우하향할수록) 안전자산의 비중이 선호되는 트랜드라고 합니다.
$AUDUSD는 호주달러와 미국달러의 비교입니다. 호주달러를 신흥국통화라고 보고 나온 지표라고 합니다. 호주가 별로 신흥국 같진 않지만 역사적으로는 그러했나보네요. 우상향한다는 의미는 신흥국 통화가 상대적으로 비싼 것이고, 우하향하면 미국달러가 더 비쌀 것이므로 우하향 할수록 안전 자산을 선호하는 트랜드가 될 것입니다.
그럼 지금 시점은 어떨까요?
아래 표에서 보시다시피, 여기 소개된 지표들은 마치 코스피가 왜 급격하게 지수가 상승했는지 알려주는 것 같긴 합니다.
지금이 과연 코스피 최고점일까요? 아니면 과연 코스피는 어디까지 갈 것인지.. 연초부터 흥미 진진합니다.
지표는 stockcharts.com/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치료제와 미래 (0) | 2021.01.23 |
---|---|
곱버스는 왜 위험할까요? (0) | 2021.01.17 |
서울시 소규모재건축 상황 (0) | 2021.01.07 |
소규모재건축이란? (0) | 2021.01.07 |
PBR이란? (0) | 2021.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