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허의 오늘은 뭐 먹지?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 미국 AI 시장에 도전장… 설립자 량원펑에 세계가 주목 본문

오늘소식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 미국 AI 시장에 도전장… 설립자 량원펑에 세계가 주목

luminovus 2025. 1. 28. 17:05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미국 오픈AI를 넘어서는 성능과 비용 효율성을 내세워 글로벌 AI 시장을 흔들고 있다. 딥시크의 설립자인 1985년생 량원펑(40)은 중국 항저우에서 딥시크를 설립하며 AI 분야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고 있다.

 

량원펑은 중국 광둥성 출신으로, 명문 저장대에서 컴퓨터 공학을 전공했다. 그는 대학 시절부터 AI를 활용한 주식 투자 자동화 연구에 몰두했으며, 졸업 후 2015년 대학 동창들과 함께 헤지펀드 하이-플라이어(High-Flyer)를 설립했다.

 

하이-플라이어는 AI와 딥러닝 기술을 선구적으로 도입해 4년 만에 펀드 자산을 10배 이상 늘려 약 80억 달러(약 11조 5000억 원)를 운용하는 규모로 성장했다. 이후 량원펑은 소규모 AI 연구소를 운영하다, 이를 기반으로 2023년 딥시크를 창립하며 AI 기술 개발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딥시크는 중국 내 최고 명문대 출신 인재들이 모여 전통적 업무 경험보다는 기술적 능력을 우선시하는 채용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포브스는 딥시크 팀이 "AI 개발에 신선한 시각을 가진 고도로 숙련된 집단"이라고 평가했다.

 

딥시크는 2019년부터 AI 칩 비축에 나섰고, 엔비디아 GPU 약 1만 개를 확보해 AI 훈련을 위한 클러스터를 구축했다. 이러한 기반 위에서 딥시크는 2023년 ‘딥시크 코더’, 2024년 ‘딥시크-V2’를 잇따라 출시하며 성능과 비용 효율성으로 중국 AI 시장에 변화를 일으켰다.

 

딥시크는 이후 ‘딥시크-V3’와 ‘딥시크-R1’을 연이어 선보이며 세계 AI 시장에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특히 딥시크-R1은 미국 수학경시대회 AIME 2024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79.8%를 기록하며 오픈AI의 최신 모델 ‘o1’(79.2%)을 근소하게 앞질렀다.

 

캘리포니아대 버클리 연구원들의 챗봇 성능 평가 플랫폼 ‘챗봇 아레나’에서도 딥시크 모델들이 10위 안에 들어 그 성능을 인정받았다. 더 놀라운 점은, 딥시크의 개발비용이 미국 주요 AI 기업보다 현저히 낮다는 것이다. 딥시크-V3의 개발비용은 약 557만 달러(약 79억 원)로, 메타가 라마 3 모델 개발에 사용한 비용의 10분의 1 수준이다.

 

중국 정부의 강력한 검열은 딥시크의 주요 걸림돌로 꼽힌다. 딥시크는 중국 정부와 시진핑 국가주석에 대한 민감한 질문에는 답변을 피하는 등 규제에 맞춰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량원펑은 이러한 한계를 딛고 딥시크를 세계적인 AI 기업으로 성장시키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량원펑이 이끄는 딥시크가 앞으로 글로벌 AI 시장에서 어떤 변화를 일으킬지 주목되고 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