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허의 오늘은 뭐 먹지?
콜롬비아, 트럼프 ‘관세 폭탄’에 백기… 다음 타깃은 캐나다·멕시코일지도? 본문
콜롬비아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25% 관세 위협과 비자·금융 제재 압박에 굴복하며 불법체류자 송환 문제에서 미국의 요구를 수용했다. 이로 인해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다음달 1일부터 캐나다와 멕시코에도 25% 관세를 실제로 부과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6일(현지시간) 보도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해 협상 전에 고율 관세를 먼저 부과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콜롬비아 사례처럼 관세 압박 후 협상으로 유리한 고지를 점하려는 전략이다.
특히 트럼프 정부 내 보호무역주의를 주도하는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 지명자와 스티븐 밀러 백악관 부비서실장이 협상 전 관세 부과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행정부 관계자는 WSJ에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관세 부과를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다”며 “두 나라의 협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세 압박의 배경과 전망
트럼프 전 대통령은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해 마약과 불법 이민자 유입 차단을 위한 국경 강화와,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 개정을 요구하고 있다. 캐나다의 쥐스탱 트뤼도 총리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플로리다 자택을 직접 방문해 마약 단속과 국경 경비 강화 의지를 전달했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은 관세 부과 계획을 철회하지 않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발언이 협상 압박용일 가능성도 있지만, 실제 관세를 부과한 뒤 협상에 나서는 '선 관세 후 협상' 전략이 반복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콜롬비아가 관세 충격을 견디지 못하고 미국의 요구를 수용한 사례는 캐나다와 멕시코에도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했다는 평가다. 두 나라가 미국의 요구에 어떻게 대응할지, 그리고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압박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주목된다.
'오늘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민혁, 임대 이적 가능성… 손흥민과 토트넘서 함께 뛰기 어려울 듯 (1) | 2025.01.28 |
---|---|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 챗GPT 추월… 글로벌 AI 시장 뒤흔든 돌풍 (1) | 2025.01.27 |
인도 증시 1% 하락… 트럼프 관세 위협과 예산 발표 앞두고 투자심리 악화 (2) | 2025.01.27 |
정재호 주중대사, 부임 2년 반 만에 이임… 후임 임명은 '공석 상태' (0) | 2025.01.27 |
콜롬비아, 트럼프 압박에 결국 굴복… 대통령 전용기로 추방자 수송하기로 (0) | 2025.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