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허의 오늘은 뭐 먹지?

원격 의료와 미래 본문

메모

원격 의료와 미래

luminovus 2021. 1. 23. 22:03

안녕하세요 허허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원격 의료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원격의료 사례 (대웅제약)

 

원격의료 (Telemedicine) 란?

의사가 ICT기술을 이용하여 환자에게 제공하는 진료, 수술, 모니터링 등의 행위들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원격의료 개념 - KISTEP Issue Paper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김지연

 

서비스 방식과 의료 행위에 따라 원격 의료는

실시간/비동기화, 원격진료/원격수술/원격모니터링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방식에 따른 원격의료 분류 - KISTEP Issue Paper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김지연
의료 행위에 따른 원격 의료 분류 - KISTEP Issue Paper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김지연

 

그럼 원격 의료는 과연 어떤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할까요?

특히 영상의학과 피부과 분야에서 가장 높은 활용 가능성이 예측되며, 심장내과, 안과, 정신과에서도 높은 활용 가능성이 예측되고 있습니다.

주로 이미지와 데이터 중심으로 의사에게 진단이 가능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의료진은 이 데이터를 가지고 치료나 사전 진단 등으로 활용하는 곳에 효율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의료 분야에 따른 원격 의료 가능성 - KISTEP Issue Paper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김지연

 

우리나라에서는 원격 의료 행위가 합법일까요?

하지만 한국에서는 의사가 환자를 진료할 때 원격의료를 허용하지 않습니다.

국내 의료법상 허용되는 원격 의료의 유형은 아래와 같습니다.

국내 의료법 상 허용되는 원격의료의 유형 - KISTEP Issue Paper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김지연

 

세계 상황을 어떤가요?

코로나 19로 인해 급격하게 그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의 경우 코로나 19이전과 이후 원격 의료 제도가 아래와 같이 달라졌다고 합니다.

아직 이는 한시적인 정책이라고 합니다만, 향후 원격 의료는 이러한 방식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코로나19로 인해 한시적으로 완화된 미국내 원격의료 관련 제도 - KISTEP Issue Paper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김지연

뿐만 아니라 영국은 정부 주도로 원격 의료를 의료 표준으로 만들기 위한 지원을 하고 있고,

일본은 2015년에 원격의료 전면 허용을 통해 구체적인 지침을 정비하고 있다고 합니다.

중국의 경우에는 2014년 원격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병원’ 개소하였으며 현재 158개 이상 영업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도 들여다 보겠습니다.

우리나라도 점점 원격 의료와 가까워지고 있는 것 같긴합니다.

아래는 대웅제약에서 가져온 "국내 원격 전화 진료 참여 병원 현황" 자료입니다.

국내 원격 전화 진료 참여 병원 현황 (대웅제약)

그리고 2020년 7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 발표에서 스마트 병원을 2025년까지 18개, 20개 질환에 대해 AI진단을 하겠다고 발표하였습니다.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원격의료 시장은 과연 얼마나 커질까요?

글로벌 원격의료의 시장규모는 

원격의료 제품과 서비스를 포함하는 글로벌 시장 규모는 연평균 성장률 15.1%로 2019년 414억 달러에서 2027년 1,551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Grand View Research, 2020) 이는 디지털치료제보다도 훨씬 큰 시장이네요.

www.kita.net/cmmrcInfo/cmmrcNews/cmmrcNews/cmmrcNewsDetail.do?pageIndex=1&nIndex=58063&sSiteid=1&searchReqType=detail&searchCondition=TITLE&searchStartDate=&searchEndDate=&categorySearch=1&searchKeyword&logGb=A9400_20200519

 

세계 원격의료 시장 38조…

무역 관련 주요 국내 및 해외 뉴스, 최신 환율 전망 업데이트.

www.kita.net

하지만 아직 넘어야 할 산이 있습니다.

원격의료에 반대하는 목소리 때문입니다.

의사와 환자간 원격의료 확대의 찬성측은 의료 접근성이 강화되고 의료 서비스 다양성이 확대되는 등의 의견이 있으나, 반대측은 대형병원으로의 쏠림현상 심화로 동네 의원이나 지방병원 들은 손해가 클 것으로 우려되며, 의료질에 대해서 주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원격 의료 관련해서 수가 문제애 대해 합의 또한 필요합니다.

대면 진료와 비교하여 원격진료 수가를 어떻게 책정할지에 대한 문제이지요.

우리나라는 행위별수가제와 포괄주사게즐 병용하는데 행위별수가제는 서비스항목별 단위별 가격 (진찰이나 검사 등)에 서비스횟수를 곱한 금액을 말합니다.

 

마무리지으며 ...

다만 이 또한 언젠가 넘어야할 시대적 변화의 시작인 것 같습니다.

우리가 사는 시대는 인구는 과거보다 도심에 더욱 집중되고 있고, 의료 시설도 도심에 집중되는 도시 중앙화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즉, 이는 도심 외부에 사는 사람들이 의료기관 까지 접근하는데 점점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의미입니다.

의료 서비스를 받기 어려운 의료 약자가 증가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고, 현재의 ICT기술은 점점 발전하고 있기에 언젠가 원격 의료가 활발하게 커나가지 않을까요?

원격의료 사례 (대웅제약)

 

원격의료 (Telemedicine) 란?

의사가 ICT기술을 이용하여 환자에게 제공하는 진료, 수술, 모니터링 등의 행위들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원격의료 개념 - KISTEP Issue Paper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김지연

 

서비스 방식과 의료 행위에 따라 원격 의료는

실시간/비동기화, 원격진료/원격수술/원격모니터링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방식에 따른 원격의료 분류 - KISTEP Issue Paper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김지연
의료 행위에 따른 원격 의료 분류 - KISTEP Issue Paper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김지연

 

그럼 원격 의료는 과연 어떤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할까요?

특히 영상의학과 피부과 분야에서 가장 높은 활용 가능성이 예측되며, 심장내과, 안과, 정신과에서도 높은 활용 가능성이 예측되고 있습니다.

주로 이미지와 데이터 중심으로 의사에게 진단이 가능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의료진은 이 데이터를 가지고 치료나 사전 진단 등으로 활용하는 곳에 효율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의료 분야에 따른 원격 의료 가능성 - KISTEP Issue Paper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김지연

 

우리나라에서는 원격 의료 행위가 합법일까요?

하지만 한국에서는 의사가 환자를 진료할 때 원격의료를 허용하지 않습니다.

국내 의료법상 허용되는 원격 의료의 유형은 아래와 같습니다.

국내 의료법 상 허용되는 원격의료의 유형 - KISTEP Issue Paper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김지연

 

세계 상황을 어떤가요?

코로나 19로 인해 급격하게 그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의 경우 코로나 19이전과 이후 원격 의료 제도가 아래와 같이 달라졌다고 합니다.

아직 이는 한시적인 정책이라고 합니다만, 향후 원격 의료는 이러한 방식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코로나19로 인해 한시적으로 완화된 미국내 원격의료 관련 제도 - KISTEP Issue Paper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김지연

뿐만 아니라 영국은 정부 주도로 원격 의료를 의료 표준으로 만들기 위한 지원을 하고 있고,

일본은 2015년에 원격의료 전면 허용을 통해 구체적인 지침을 정비하고 있다고 합니다.

중국의 경우에는 2014년 원격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병원’ 개소하였으며 현재 158개 이상 영업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도 들여다 보겠습니다.

우리나라도 점점 원격 의료와 가까워지고 있는 것 같긴합니다.

아래는 대웅제약에서 가져온 "국내 원격 전화 진료 참여 병원 현황" 자료입니다.

국내 원격 전화 진료 참여 병원 현황 (대웅제약)

그리고 2020년 7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 발표에서 스마트 병원을 2025년까지 18개, 20개 질환에 대해 AI진단을 하겠다고 발표하였습니다.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원격의료 시장은 과연 얼마나 커질까요?

글로벌 원격의료의 시장규모는 

원격의료 제품과 서비스를 포함하는 글로벌 시장 규모는 연평균 성장률 15.1%로 2019년 414억 달러에서 2027년 1,551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Grand View Research, 2020) 이는 디지털치료제보다도 훨씬 큰 시장이네요.

www.kita.net/cmmrcInfo/cmmrcNews/cmmrcNews/cmmrcNewsDetail.do?pageIndex=1&nIndex=58063&sSiteid=1&searchReqType=detail&searchCondition=TITLE&searchStartDate=&searchEndDate=&categorySearch=1&searchKeyword&logGb=A9400_20200519

 

세계 원격의료 시장 38조…

무역 관련 주요 국내 및 해외 뉴스, 최신 환율 전망 업데이트.

www.kita.net

하지만 아직 넘어야 할 산은 있습니다.

원격의료에 반대하는 목소리 때문입니다.

의사와 환자간 원격의료 확대의 찬성측은 의료 접근성이 강화되고 의료 서비스 다양성이 확대되는 등의 의견이 있으나, 반대측은 대형병원으로의 쏠림현상 심화로 동네 의원이나 지방병원 들은 손해가 클 것으로 우려되며, 의료질에 대해서 주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원격 의료 관련해서 수가 문제애 대해 합의 또한 필요합니다.

대면 진료와 비교하여 원격진료 수가를 어떻게 책정할지에 대한 문제이지요.

우리나라는 행위별수가제와 포괄주사게즐 병용하는데 행위별수가제는 서비스항목별 단위별 가격 (진찰이나 검사 등)에 서비스횟수를 곱한 금액을 말합니다.

 

마무리 지으며 ...

다만 이 또한 언젠가 넘어야할 시대적 변화의 시작인 것 같습니다.

우리가 사는 시대는 인구는 과거보다 도심에 더욱 집중되고 있고, 의료 시설도 도심에 집중되는 도시 중앙화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즉, 이는 도심 외부에 사는 사람들이 의료기관 까지 접근하는데 점점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의미입니다.

의료 서비스를 받기 어려운 의료 약자가 증가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고, 현재의 ICT기술은 점점 발전하고 있기에 머지않은 미래에 원격 의료가 활발하게 커나갈꺼라고 확신합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