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허의 오늘은 뭐 먹지?
트럼프, 한국 세탁기 관세 사례 재언급… '관세 없었으면 큰일 날 뻔' 본문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철강, 반도체 등 핵심 산업에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한국 세탁기 관세 부과 사례를 다시 언급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 27일 플로리다주 골프클럽에서 열린 공화당 연방하원 콘퍼런스에서 관세 부과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연설에서 “외국 기업들은 미국 경제에 아무런 기여를 하지 않았다”며 철강, 반도체, 의약품 등 군사용 및 필수 산업에서 관세를 강화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이어 “내가 철강에 대규모 관세를 부과하지 않았다면 지금쯤 미국에는 철강 공장이 하나도 남아 있지 않았을 것”이라며 “희토류 광물도 환경친화적으로 확보해 생산을 미국으로 되돌려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과정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은 한국산 세탁기와 전자제품에 관세를 부과한 사례를 들어 관세 정책의 성과를 강조했다. 그는 “만약 우리가 세탁기와 건조기에 관세를 부과하지 않았다면, 오하이오에 있는 제조업체들이 모두 사라졌을 것”이라며, 당시 한국 제품의 덤핑 문제를 언급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2018년 한국산 세탁기에 연간 120만 대까지는 20%, 그 이상은 50%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이는 한국 기업의 시장 점유율 확대를 견제하려는 조치로 평가됐다. 하지만 2021년 바이든 행정부가 관세율을 각각 14%, 30%로 완화하면서 트럼프의 정책은 일부 수정됐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이번 발언은 완화된 관세를 다시 인상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그는 “한국은 세탁기를 포함한 여러 제품을 덤핑하고 있었다”며 “우리는 50%, 75%, 100%의 관세를 부과했다. 그 결과 우리는 제조업체를 지켜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또 “외국 기업이 미국에 공장을 세우면 감세 혜택을 받을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말했다. 이는 미국 내 제조업 활성화를 위해 외국 기업들을 압박하는 정책 방향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다시 관세 강화 의지를 피력함에 따라, 미국과 주요 교역국 간 무역 정책에 긴장감이 고조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오늘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제, '아파트'로 빌보드 핫100 3위 등극…K팝 새 역사 썼다 (0) | 2025.01.28 |
---|---|
김민재, 시즌 3호 골과 함께 분데스리가 '이 주의 팀' 선정! (0) | 2025.01.28 |
‘신랑수업’ 김종민, 결혼 준비 돌입…예비 신부 사진 공개 (1) | 2025.01.28 |
양민혁, 임대 이적 가능성… 손흥민과 토트넘서 함께 뛰기 어려울 듯 (1) | 2025.01.28 |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 챗GPT 추월… 글로벌 AI 시장 뒤흔든 돌풍 (1) | 2025.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