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허의 오늘은 뭐 먹지?
콜롬비아, '트럼프 관세 압박'에 굴복…불법 이민자 송환 합의 본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강경 관세 압박에 결국 콜롬비아가 무릎을 꿇었다. 미국에서 추방된 콜롬비아 불법 체류자를 본국으로 송환하는 데 동의하면서, 양국 간 관세 충돌은 극적으로 봉합됐다.
26일(현지시간) 백악관은 "콜롬비아 정부가 트럼프 대통령의 모든 조건에 동의했다"며 "미군 항공기를 포함해 콜롬비아 출신 불법 체류자들이 지체 없이 귀국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백악관 대변인은 성명에서 "콜롬비아가 이 합의를 어기지 않는 한,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25%의 긴급 관세와 추가 경제 제재는 보류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콜롬비아 관료에 대한 비자 제한과 세관 검문 강화는 송환 조치가 실행되기 전까지 유효하다.
이날 발표는 미국이 콜롬비아 국적 불법 체류자를 군용기로 송환하려다 콜롬비아 측이 착륙을 거부하면서 벌어진 긴박한 상황 이후 나온 것이다. 구스타보 페트로 콜롬비아 대통령은 "미국은 우리 국민을 범죄자처럼 취급할 수 없다"며 강경한 입장을 보였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보복 조치는 신속하고 단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콜롬비아산 제품에 대해 즉각 25% 관세를 부과하고, 일주일 안에 이를 50%로 인상하겠다고 위협했다. 또한, 콜롬비아 관료의 미국 입국 금지와 모든 콜롬비아 화물에 대한 강화된 세관 검사를 지시하며 압박의 강도를 높였다.
결국, 페트로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를 수용하기로 결정했다. 콜롬비아 외무장관은 송환 항공편 재개 사실을 확인하며 "불필요한 경제 충돌을 피하기 위한 합리적인 선택"이라고 언급했다.
이번 사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강력한 외교 무기로 자리 잡고 있음을 다시 한번 보여줬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건이 '미국 우선주의'와 강경 이민 정책의 연장선으로, 다른 국가에도 경고의 메시지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콜롬비아의 굴복은 중남미 지역뿐 아니라, 향후 트럼프 행정부의 대외 정책이 더 거세질 가능성을 예고하고 있다.
'오늘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우 이제훈, 설 앞두고 서울아산병원에 1억 원 기부…누적 3억 원 선행의 아이콘 (1) | 2025.01.27 |
---|---|
세븐틴, 싱가포르 마리나 베이 샌즈를 물들이다…K팝 최초의 역사적 협업 (0) | 2025.01.27 |
"12·3 비상계엄은 국헌문란 폭동…尹 내란 우두머리" (2) | 2025.01.26 |
윤석열 대통령 구속기소, 헌정사상 첫 현직 대통령 기소 (0) | 2025.01.26 |
"母가 해줬던 사라다 먹먹" 하승진, 설 앞두고 모친상 비보.."잘 추스르겠다" (3) | 2025.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