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SW/메모 (20)
허허의 오늘은 뭐 먹지?
sql dump파일로 명령어 상에서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mysql -u[계정] -p[비밀번호] [database] < [dump한 파일명] 작업시 db에 lock이 걸려있지 않은지, cpu 자원이 너무 높아지지 않았는지 모니터링하고 있을 것.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lNGNl/btsfaNTWBTB/TJqa6bDzAUfzv7uGRGKCk0/img.png)
Public key retrieval is not allowed useSSL=false allowPublicKeyRetrieval = true로 설정해준다. dbeaver기준으로 edit connection에 driver properties에서 변경 가능하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z3OdK/btsfdaVdJeo/0QKREQ0BSoSx58XuUsOatk/img.png)
mysql의 timezone을 한국으로 변경하고자 함. 먼저 현재 세팅을 확인해본다. SELECT NOW(), @@system_time_zone, @@GLOBAL.time_zone AS TimeZone; mysql에 my.cnf를 수정하고 mysql을 재시작한다. 변경 후.
mysql을 젤 처음 설치한 후 삐그덕거린다면 buffer size를 변경해보자. -- innodb buffer size tunning select 134217728*3; -- 402653184 show global variables like '%innodb_buffer_pool_size%'; show global variables like '%innodb_buffer_pool_chunk_size%'; show global variables like '%innodb_buffer_pool_instances%'; -- innodb buffer size 변경 SET GLOBAL innodb_buffer_pool_size=402653184;
git pull 할 때 Enter passphrase for key '/Users/블라블라/.ssh/id_rsa': 라는 메시지가 나오면서 계속 비밀번호를 넣어야할 경우 ssh-agent가 키를 가지고 있지 않아서이다. 키를 줘보자 ssh-add /Users/블라블라/.ssh/id_rsa
python의 decorator는 함수 객체를 입력받아 새로운 함수 함수 객체(decorated function)을 만들어준다. num1 = 3 num2 = 8 def call_test(func): def wrapper(): print(f"called func : {func.__name__} !!!!!!!!!!!!!!!!!!!!!!!!!!!!!!!!!!!") print(f"before call func. num1 --> {num1}, num2 --> {num2}") func() print(f"after call func. num1 --> {num1}, num2 --> {num2}") return wrapper def first(): # global로 num을 변경할 수 있다. global num1 num..
Data Binding오류시 xml이 복잡하면 찾기가 어려워서 아래와 같이 세팅해주면 훨씬 수월함 ./gradlew assembleDebug --debug --stacktrac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iE3mu/btrHZtmWfMQ/irxt9XE48ZdkBqlcrwq711/img.png)
1. gradle 설치 * homebrew가 먼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brew install gradle 아래와 같이 나오면 설치 완료! 2. 설치 버전 확인 gradle -v 3. 버전 확인 (brew 설치)
FaaS (Function-as-a-Service) 서버없이 컴퓨팅 Serverless Computing이라고 하고 기능 및 함수단위로 서비스한다고 해서 서비스로서의 함수라고 함 관련 서비스 : AWS Lambda, Google Cloud Functions, MS Azure Functions 장점 - 빠른 개발이 가능함. - 서버 관리의부 부담이 없음. 서버를 관리하거나 실행할 필요가 없고 서비스를 하는 코드에만 집중할 수 있고 작은 기능 단위로 개발해서 연결할 수 있음. - 적은 비용 (사용한 만큼만 지불) 단점 - Cold Start 문제 오랫동안 실행하지 않거나 갑자기 많은 요청이 온 경우 함수 실행이 지연됨. Wamer로 주기적으로 수행하거나 함수에 동시성을 부여함 FaaS와 Serverless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34xuH/btq2ievUTkB/BIxYaNHbWF87uwF0NhG2U0/img.png)
Github에 commit되어 있는 특정 tar 파일을 다운로드 받기 위해서 wget [url] 명령어로 다운로드를 시도해보았습니다. url은 해당 파일 소스를 보는 화면의 url을 넣어주었습니다. 다운로드받은 파일의 압축을 풀려고 하는대...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나오고 있었습니다. "tar: Error opening archive: Unrecognized archive format" 해당 화면의 주소를 볼 것이 아니라 해당 소스의 Raw버튼에 연결되어 있는 주소를 url로 사용해야 정상적으로 tar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Raw버튼을 눌렀을 때 redirect되는 주소는 개발자도구의 Request URL을 참고하면 됩니다. RAW버튼을 누를 때 개발자도구에서 Redirect되는 주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