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허의 오늘은 뭐 먹지?
또 김흥국? 음주운전 2회→성폭행 무혐의→뺑소니 벌금형→무면허 운전까지 본문
가수 김흥국(65)이 지난해 무면허운전 혐의로 벌금형을 받은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24일 MBN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은 작년 8월 무면허운전 혐의로 약식기소된 김흥국에 벌금 100만원의 약식명령을 내렸다.
김흥국은 작년 4월 29일 서울 강남에서 차를 몰고 불법으로 진로를 변경하다 경찰에 적발됐다. 당시 무면허 상태였던 김흥국은 그해 5월 검찰에 넘겨졌다. 서울중앙지검은 같은 달 22일 김흥국을 벌금 100만원에 약식 기소했다.
앞서 김흥국은 2021년 4월 서울 용산구 이촌동의 한 사거리에서 SUV를 몰다 오토바이와 부딪힌 뒤 현장을 수습하지 않고 달아난 혐의로 재판에 넘겨져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사고 당시 김흥국은 적색 신호에 불법 좌회전을 했고 오토바이도 황색 신호에 직진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이 사고로 오토바이 운전자는 다리를 다친 것으로 알려졌다. 법원은 2021년 11월 4일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상 도주치상과 도로교통법 위반(사고 후 미조치) 혐의로 기소된 김흥국에게 벌금 700만 원을 선고했다.
김흥국은 2013년 음주운전 혐의로 면허정지 처분을 받았으며 1997년에도 음주운전을 하다 사고를 내 물의를 일으킨 바 있다.
윤석열 대통령을 공개 지지하며 날선 정치 발언을 쏟아내고 있는 가수 김흥국의 무면허 운전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24일 MBN 보도에 따르면 김흥국은 지난해 4월 29일 서울 강남에서 운전대를 잡았다가 불법 진로 변경으로 경찰에 적발됐다. 당시 그는 무면허 상태였던 걸로 알려졌다. 검찰은 김흥국을 벌금 100만 원에 약식기소했고 그해 8월 서울중앙지법은 이를 확정했다.
김흥국은 1989년 발표한 ‘호랑나비’로 전국민의 사랑을 받은 톱가수다. 하지만 기러기 아빠로 홀로 지내며 갖은 구설에 올라 힘든 시간을 보내기도 했다. 1997년과 2013년 두 차례 음주운전 혐의로 적발됐고 2018년에는 성폭행 의혹에 휩싸였는데 그해 최종 무혐의 판결을 받으며 8개월여 만에 혐의에서 벗어났다.
이후 2021년에는 뺑소니 혐의로 입건됐는데 뺑소니 사고가 아니라 사고를 당했다며 협박 받은 사실을 알려 충격을 주기도 했다. 해당 사건은 검찰이 약식기소 처분을 내리며 마무리 됐다. 이 때에도 벌금 700만 원을 선고 받았다.
최근에는 정치적 발언으로 이슈의 중심에 섰다. 지난 2일 서울 용산구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관저 앞 체포 저지 집회 무대에 올라 "저는 해병대 출신인데, 해병대에서 배운 건, 나라가 어렵고 국민이 힘들면, 대한민국 해병대가 제일 앞장서서 한국을 지키는 게 해병대라고 배웠다"라며 태극기 부대와 윤석열 대통령을 지지했다.
이어 그는 "윤석열 대통령께서 하루하루 얼마나 힘드시겠나. 여러분 때문에 끝까지 싸우겠다고 하시는 저런 분이 어디 있나. 저도 윤 대통령을 만들기 위해 전국을 다니며 목숨을 걸었는데, 이게 뭐냐. 2년 반 동안 이분만큼 잘한 대통령이 어디 있는가. 이승만 대통령, 박정희 대통령, 전두환 대통령도 잘했지만, 윤석열 대통령이 제일 잘하고 있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해당 발언이 알려지자 김흥국의 유튜브 댓글에는 "채상병 사건 이후 해병대 선후배 전우들은 김흥국 씨를 더 이상 해병대로 인정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정치 모임에서 두 번 다시 해병대 선후배 언급하지 말아주시기 바랍니다", "해병대의 수치! 대한민국 연예계의 수치! 대한민국 국민의 수치", "어디서 해병대라고 말 하지 말라"라는 댓글이 쏟아졌다.
이에 김흥국은 "니네만 해병이냐", "니가 뭔데", "너나 잘 살어"라고 받아쳤다. 해병대 401기로 알려진 김흥국은 해병대전우회 부총재를 역임하고 있었지만, 정치적 중립 요청에 지난해 3월 자진 사퇴 의사를 밝히며 해촉됐다. 김흥국은 오래 전부터 스스로를 '보수우파 연예인'이라 칭하며 정치적 성향을 드러내고 있다.
'오늘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의 그린란드 매입 시도, 덴마크와의 갈등 불씨가 되나? (0) | 2025.01.25 |
---|---|
'호주오픈' 매디슨 키스, 7년의 기다림 끝에 메이저 첫 우승… 감격의 눈물 (0) | 2025.01.25 |
부산 단독주택 화재로 2명 부상…차량 3대 피해 (0) | 2025.01.25 |
'바디프랜드 경영권 분쟁' 사모펀드 대주주, 두번째 구속영장도 기각 (1) | 2025.01.25 |
연도별 삼성 원태인 연봉 (0) | 2025.01.24 |